작성자: 서지훈 (커피 연구가·9년 경력)
업데이트: 2025년 6월 23일 버전
전문가 언급
• 전문성: 디카페인 커피 연구 프로젝트 60회 참여
• 신뢰도: Specialty Coffee Association 디카페인 워크숍 강사
• 최신 정보: 2025년 디카페인 추출 기법 및 시장 트렌드 반영
디카페인 원두의 종류와 특징
자연 침출법 디카페인
- 솔벤트 프리 방식으로 물과 활성탄을 활용
- 커피의 아로마와 풍미 보존도가 높음
- 단점: 생산 비용이 높아 가격대가 높음
용매 침출법 디카페인
- 에틸 아세테이트 등 용매 사용해 카페인 제거
- 비교적 효율적으로 카페인 제거 가능
- 주의: 용매 잔류 가능성 최소화를 위해 인증 원두 선택 필수
이산화탄소 침출법 디카페인
- 고압 이산화탄소로 카페인을 분리
- 풍미 변형이 적고 친환경적
- 설비 비용이 높아 국내 보급률은 낮은 편
“디카페인 방식에 따라 맛과 향이 크게 달라집니다. 라이트 로스트 디카페인일수록 산미가 살아 있어 다양한 레시피에 활용하기 좋습니다.”
디카페인 커피 추출 기본 레시피
H2 준비물 및 도구
- 디카페인 원두 18g (중강배전 권장)
- 물 93°C 예열 30ml
- 우유 150ml (옵션)
- 도구: 에스프레소 머신 또는 모카포트, 스팀 피처, 온도계, 템퍼, 저울
H3 에스프레소 스타일 디카페인
- 원두 분쇄: 에스프레소용(미세)
- 도징 & 템핑: 18g → 30파운드(13kg)
- 추출: 93°C·9바 압력, 25~30초
- 크레마: 3mm 이상 유지
“디카페인 에스프레소는 크레마가 얇을 수 있어, 물 온도와 압력을 정확히 관리해야 합니다.”
H3 드립 커피 스타일 디카페인
- 분쇄도: 핸드드립용(중간 굵기)
- 원두 20g, 물 300ml, 2분 블룸 + 2분 메인 퍼핑
- 추출 비율: 1:15(원두:물) 권장
- 블룸: 물 60ml 부어 30초 방치
“디카페인 드립은 일반 커피보다 핸드드립 패턴이 맛 밸런스에 더 민감합니다.”
디카페인 라떼 & 변형 레시피
카페인 프리 라떼
- 에스프레소 디카페인 샷 1개
- 우유 스티밍: 60°C까지 미세 폼 생성
- 붓기: 에스프레소 → 우유 순으로 레이어링
바닐라 디카페인 라떼
- 라떼 준비 후 바닐라 시럽 10ml 추가
- 살짝 저어 은은한 바닐라 향 강조
카라멜 디카페인 마끼아또
- 컵 바닥에 카라멜 소스 10ml
- 디카페인 샷 → 폼 우유 → 카라멜 드리즐
- 토핑: 코코아 가루 소량
체크리스트
- 우유와 시럽 비율은 5:1 내외로 조절
- 디카페인 특유의 부드러움을 살려 레이어링 후 3초 이상 기다려 층 구분
문제 해결 Q&A
- 크레마가 거의 없을 때
→ 추출 압력을 9.5바로 올리거나, 분쇄도를 살짝 미세하게 조정하세요. - 맛이 평평할 때
→ 라이트 로스트 디카페인 원두로 변경하거나 블랙 체리·초콜릿 노트를 가진 싱글 오리진 추천. - 우유 폼이 거칠 때
→ 우유 온도를 58°C로 낮추고, 스팀 완드를 포처 표면 바로 아래에 위치시키세요.
참고자료
- Specialty Coffee Association: “Decaffeination Methods”
- Barista Hustle: “Decaf Coffee Extraction”